요실금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폐경기 전 여성의 25%, 폐경기 후 여성의 40%가 경험하고 있으며, 나이가 들어감에 발병률이 높아집니다.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소변이 누출되어 개인위생과 사회적인문제를 발생시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여성의 사회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요심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소변이 새는 증상이 발생하게 되면 사회적 활동 또는 위생 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요실금은 종양으로 생명을 위협하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은 아닙니다.
그러나 증상으로 인한 불편함과 수치심을 동반하게 되고 사회활동을 위축시키며, 스스로를 고립시킬 수 있어 ‘사회적인 암’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요실금은 요도와 방광을 지지하는 골반 근육이 약해지거나, 방광이 과도하게 예민해지면 발생합니다.
또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요도 길이가 짧아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노화
방광을 지지하는 근육의 탄력 저하
방광 수축력 저하
방광 용적도 감소
2. 출산
물리적 압력으로 인한 결합 조직 손상
골반 신경, 근육, 혈관 손상
3. 폐경
여성 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비뇨생식기의 민감도 상승
4. 비만
복부 비만으로 복압이 상승하여 방광을 누르고 자극함
복압성 요실금
소변이 새는 것을 막는 기관이 손상되어 발생하며, 전체 요실금의 80~9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 운동을 할 때 갑자기 복압이 상승하면 골반 근육이 수축하여 요도를 막아야 하는데, 그 기능이 약화되어 소변이 누출되는 현상이 생깁니다. 또한 분만이나 노화로 골반 근육이 약화되어 방광과 요도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거나, 요도괄약근이 약해져서 요실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절박성 요실금
소변을 보고 싶은 순간 갑자기 강한 요의를 느껴 소변이 누출되는 증상을 말합니다. 전체 요실금의 20~30% 정도를 차지하며, 절박성 요실금이 있을 경우에는 요의를 느낄 때 빨리 화장실에 가지 않으면 소변으로 속옷이 젖는 일이 자주 생깁니다. 요절박, 빈뇨, 야간뇨를 일으키는 과민성 방광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혼합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30% 정도는 절박성 요실금도 함께 갖고 있습니다.
반사성 요실금
척추를 다쳐 하반신 마비가 있는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요실금입니다. 척추에서 신경 전달이 차단되어 소변이 차면 반사적으로 방광이 수축하여 소변이 나오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소변정체 요실금
방광 배뇨근이 수축하지 못해 소변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으면 방광이 계속 커지다가 결국에는 소변이 넘쳐 흐르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일류성(범람) 요실금이라고 합니다. 당뇨, 말초신경질환, 자궁암이나 직장암 수술 후에 생길 수 있으며, 방치하면 요로감염이나 신부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일과성 요실금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며, 요실금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하면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과성 요실금의 원인에는 섬망(의식이 명료하지 못한 상태), 요로감염, 위축성 요도염 또는 질염, 약물, 정신과적 문제, 과도한 소변량 증가, 의자나 침대에서만 생활해야 하는 경우, 변비 등이 있습니다.
요실금의 발생기전에 따라 적합한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절박성 요실금의 치료는 행동치료 및 약물치료가 일차적 치료법이며,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신경조절술 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효과적이나, 증상이 심하지 않고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행동치료 또는 약물치료를 일차적으로 고려하기도 합니다.
복합성 요실금은 요실금이 발생하는 주된 기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약물치료
절박성 요실금인 경우에 유효한 치료법으로 복압성 요실금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성 요실금에도 많이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골반근육운동 (케겔운동)
출산이나 호르몬 부족으로 약해진 골반근육을 강화하여 요도를 압박할 수 있는 지지대를 만들어 주는 데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운동법
1. 똑바로 누워 무릎을 세우고 손을 배 위에 놓습니다.
2. 항문, 요도, 질을 오므리는 기분으로 힘을 주고, 1에서 10까지 세었다가 서서히 힘을 뺍니다. 힘을 빼고 20을 세면서 충분히 쉽니다.
3. 충분히 쉰 후에 수축과 이완을 짧고 빠르게 3회 반복합니다.
4. 항문과 질을 수축할 때, 아랫배에는 힘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5. 위의 운동을 10회 반복합니다. 10회 반복을 하루에 최소 3회 실시합니다.
바이오 피드백
골반근육훈련의 핵심은 얼마나 정확하게 골반근육을 운동시키느냐입니다. 그러나 평소 사용하지 않는 근육이다 보니 제대로 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바이오 피드백 치료는 환자가 골반근육을 수축시키면 근육의 긴장 정도를 시청각 신호로 알려 주어 정확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회에 30~40분 정도 시행하며, 주 2~3회 씩 총 6주간 치료합니다.
전기 자기장 치료
옷을 입은 상태로 자기장이 흐르는 편안한 의자에 앉아 20분 동안 휴식을 취하며 치료를 받을 수 있어 여성 환자분들이 선호하는 치료법입니다. 또한 별도의 골반근육운동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 2회 씩 6주간 치료하면 70% 이상의 치료 효과가 있으며, 요실금에 동반되는 배뇨증상이나 만성 골반통, 성교통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수술의 원리는 요도주변을 조아 주는 약해진 근육을 보완하기 위해 그물형의 띠를 넣어 요도를 당겨 올려 복압이 올라가도 소변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수술입니다.